- table 태그 안에 table 태그를 넣고 첫번째 테이블 배경색으로 선을 표시한다.
- 선과 글자 사이의 간격은 로 하는 것이었는데, 결과적으로 를 제대로 신경쓰지 않는 게으름이나 HTML 코드 상에서 태그와 글자 사이의 여백이나 줄 바꿈 등의 이유로 들죽날죽이었다.
그러다가 CSS padding 속성으로 이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면서 CSS와 HTML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.
그 이후로 이런 저런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 주로 사용하는 table 태그로 목록을 작성하는 간결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. 우선 table 태그를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.
<table>
<thead> <!-- 목록 이름과 목록 내용을 thead와 tbody 태그로 명시적으로 구분 -->
<tr>
<th>Column 1</th> <!-- 목록 이름에는 td 대신에 th 태그를 사용 -->
<th>Column 2</th>
<th>Column 3</th>
</tr>
</thead>
<tbody>
<tr>
<td>Content 11</td>
<td>Content 12</td>
<td>Content 13</td>
</tr>
<tr>
<td>Content 21</td>
<td>Content 22</td>
<td>Content 23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thead> <!-- 목록 이름과 목록 내용을 thead와 tbody 태그로 명시적으로 구분 -->
<tr>
<th>Column 1</th> <!-- 목록 이름에는 td 대신에 th 태그를 사용 -->
<th>Column 2</th>
<th>Column 3</th>
</tr>
</thead>
<tbody>
<tr>
<td>Content 11</td>
<td>Content 12</td>
<td>Content 13</td>
</tr>
<tr>
<td>Content 21</td>
<td>Content 22</td>
<td>Content 23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지금까지 작업 내용을 웹 브라우저로 보면 다음과 같다.
th, td {
border: 1px solid silver;
}
border: 1px solid silver;
}
이러면 선은 표시되지만 셀과 셀 사이에 여백이 보인다.
table {
border-collapse: collapse;
}
border-collapse: collapse;
}
그리고 답답함을 없애기 위해서 셀에 여백을 준다.
th, td {
border: 1px solid silver;
padding: 4px 5px;
}
border: 1px solid silver;
padding: 4px 5px;
}
문자열이 긴 경우에는 셀 안에서 줄 바꿈이 일어나기 때문에 line-height 보다는 padding 속성으로 상하 여백을 설정한다.
그리고 목록 이름에 대해서 배경색을 준다.
thead {
background: navy;
color: white; /* 배경색을 설정하면 글자 색도 함께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 */
}
background: navy;
color: white; /* 배경색을 설정하면 글자 색도 함께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 */
}
다음은 최종적인 모습이다.
다운로드 편의를 위해서 HTML에 CSS를 포함시켰다.
No comments:
Post a Comment